본문 바로가기
📘기초심리학

융(Jung)의 분석심리이론

by 샤인인포 2023. 11. 2.

융은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이며 프로이트가 주장한 개인의 성적 콤플렉스만으로 인간의 정신을 설명될 리가 없다고 주장하며, 개인과 집단 무의식, 원형, 자기 등의 독창적인 개념들을 바탕으로 분석 심리학을 창시했습니다. 지금부터 융의 분석심리학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분석심리이론의 의의

융은 인격을 '의식'과 '무의식'으로 구분하고, 무의식을 다시 '개인무의식'과 '집단무의식'으로 구분하였고, 전체적인 성격을 정신(Psyche)으로 보았으며, 성격의 발달을 자기(Self) 실현의 과정으로 보았습니다. 그리고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본질적으로 양성을 가지고 태어났다는 양성론적 입장을 취했습니다. 중년기의 성격발달을 중요하게 다루었고, 중년기를 전화점으로 자아가 자기에 통합되면서 성격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보았습니다.

 

분석심리이론의 주요개념

  • 개인무의식 : 프로이트가 말한 전의식에 해당하는 영역으로, 자아와 인접된 영역에서 자아에 의해 안정되지 않은 경험이 저장되는 곳이며, 개인무의식의 내용은 의식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개인무의식과 자아 사이에는 빈번히 상호교류가 일어남.
  • 집단무의식 : 모든 인류에게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며, 개인적 경험과는 상관없이 조상 또는 종족 전체의 경험 및 생각과 관계가 있는 원시적 공포, 사고, 성향 등을 포함하는 무의식을 말함.
  • 원형 : 집단 무의식을 구성하는 것이며, 시간, 공간, 문화나 인종의 차이에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인류의 가장 원초적인 행동유형.
  • 자기(self) :  의식과 무의식을 포함한 전체 정신의 중심으로서, 태어날 때부터 존재하는 핵심 원형. 자아(Ego)가 의식의 중심으로서 의식의 영역만을 볼 수 있는 반면, 자기(Self)는 의식과 무의식의 주인으로서 전체를 통합할 수 있음.
  • 아니마 : 무의식 속에 존재하는 남성의 여성적인 측면
  • 아니무스 : 무의식 속에 존재하는 여성의 남성적인 측면
  • 음영(그림자) :  동물적 본성을 포함하고, 스스로 인식하기 싫은 자신의 부정적인 측면
  • 페르소나 : 자아의 가면으로 개인이 외부에 표출되는 이미지 혹은 가면
  • 콤플렉스 : 현실적인 행동이나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무의식의 감정적 관념, 프로이트의 전의식과 무의식을 포함하는 개념

융의 발달단계와 발달과업

  • 아동기(출생~사춘기) : 유아기는 본능이 지배하는 시기로, 자아가 아직 형성되지 않은 시기기 때문에 심리적 문제는 없습니다. 초년의 생존을 위한 활동에 리비도의 영향을 중시하며, 5세 이전 성적 리비도가 나타나 청년기에 최고조에 이릅니다.
  • 청년 및 성인초기(사춘기~40세 전) : 사춘기 시기는 문제와 갈등, 그리고 적응의 시기입니다. 생의 전반기, 외적, 신체적으로 팽창하는 시기이며 자아발달, 외부세계에 대처하는 역량이 발휘됩니다. 남성과 여성의 각 성적 측면이 발달하고, 외향적인 사람이 더 순조롭게 이 시기를 보낼 수 있습니다.
  • 중년기(40~65세) : 융이 가장 중요하다고 본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좀 더 자신의 내면에 초점을 맞추는 성격발달의 정점시기로, 정서적 위기를 수반하는 발달적 위기를 겪으며 추구하던 목표를 잃고 절망과 비참함을 느낄 수 있는 시기입니다. 그리고 자아를 외적, 물질적 차원에서 내적, 정신적 차원으로 전화시킬 수 있습니다. 성격 원형의 본질적 변화를 초래하여 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마, 아니무스에 변화가 일어납니다. 
  • 노년기(중년기 이후) : 명상과 회고가 많아지고, 내면적 이미지가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생의 본질을 이해하려고 하며, 내세에 대한 이미지가 없다면 건전한 방식으로 죽음을 맞기 어려울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지금까지 융의  분석심리학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융은 정신분석학 관점에서의 발달이론으로 주장하였고,  과거는 물론 미래에 대한 열망을 통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후에도 또다른 심리학 이론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